Meditation on Bible/Leviticus(레위기) 3

구약과친해지기(레위기)-김근주교수

[구약과친해지기] 레위기 1 : 레위기에 등장하는 고운 가루 속죄제의 의미지금과 같은 레위기는 언제였을까 할 때 대체로 바벨론 포로기 동안에 이런 제사 규정들을 정리하고 확립하는 관심사들이 생겨나고 그리고 에스라/느헤미야 주전 5세기 후반 이즘 가면 현재와 같은 형태의 레위기일 거다. 이런 정도를 우리가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이런 이야기들을 하는 까닭은 레위기라는 책이 지금 같은 모양으로 딱 등장하는 배경이 뭐냐?  '포로'라는 경험이 있는 거고요. 그 다음에 나라가 망했고 포로가 되었다. 포로에서 돌아온 공동체가 우리는 누구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지? 우리는 무얼 하며 살지? 이런 것들이 레위기 같은 책들의 형성을 가져왔다.포로였던 이스라엘의 삶 이거 상상할 필요가 있는 거고요 그다..

레위기 - 김근주교수

김근주교수의 레위기, 어떻게 읽고 적용할 것인가? 1레위기는 제사관련 내용들이 나오기에 그리고 레위기에 나오는 제사나 절기 시스템은 오늘날 교회에는 더 이상 안하는 것들입니다. 그러다 보니 레위기가 훨씬 더 접근하기가 어려움이 있겠구요 그다음에 또 하나 더 레위기가 잘 않읽히는 까닭은 우리 교회에 내려오는 전설 때문입니다. 가령  구약의 제사는 폐지 되었다. 전 이건 틀린 이야기라 생각된다. 성경은 그런식으로 표현되지 않아요. 가령 제사가 폐지 되었다고 한다면 언제 그렇게 되었느냐?   예수의 탄생부터인가요, 예수의 공생애 시작부터인가요,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리시고 다 이루었다라고 말씀하셨을 때인가요, 그럼 사도행전 2장에 오순절에 성령께서  공동체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