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iar History/기독교역사

세계교회사여행 1 - 배덕만교수

Four Seasons Daddy 2024. 8. 5. 18:03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1강 '성전을 허물고 교회를 세우라'ㅣCBS 아카데미숲

A.D. 70년경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사건의 발단 A.D 60년경 : 예루살렘 성전 안 보물창고를 약탈한 로마,가이사랴에서 이스라엘 사람이 민중봉기, 베스파니아장군, 68년에 네로황제 죽음, 티투스장군에 의해 예루살렘 점령당함,열심당이(ZEALOT) 마사다에서 저항하다가 900명이 죽음  유대교가 망함.  성전의 파괴로 인한 제사장의 몰락(제사의 종교), =>회당에서 말씀공부로 랍비의 부상(말씀연구중심) 

성전파괴로 인해 예루살렘을 떠나 흩어지게 된 기독교인들, 아람어를 사용했던 기독교인이 헬라지역으로 기독교가 확장되는 계기가 됨.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는 복음이 확장되는 중요한 사건,문화접변(acculturation) 두 문화 간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나는 문화변동,헬레니즘 문화 :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된 문화

문화권에 따른 예수에 대한 2가지 중요한 해석, 1. 유대교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예수,"유대 문화 개념에 하나님은 오직 하나", 에비온파(Ebionites) 교회사 초창기에 유대적 성향을 가진 기독교의 한 일파로 예수의 신성을 인정하지 않고 성자로만 인정함. 2.헬레니즘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예수, 신은 인간이 될 수 없다. 예수의 성육신을 부정하고 영적인 존재로만 인정 영지주의(Gnosticism) '영은 선하고 육과 물질은 악하다'는 사상에 근거해 구약의 하나님을 무시하고 구약과 신약의 단절을 주장했다. 예수의 성육신을 부정하고 영적인 존재로만 인정했다.

얌니아 회의(Council of jamnia) :A.D 90년 경 얌니아에서 있었던 정경에 관한 회의로 구약39권을 정경으로 정하고 유대교에서 기독교인들을 분리시켰다. 얌니아 회의 후 유대인이 기독교인을 박해하기 시작, '바울이'이 유대인의 박해로 인해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게 됨,

유대인과 동시에 로마제국의 기독교 박해, A.D 64년경, 로마 대화재 발생, 로마 14개 구역 중 11개 지역이 화재로 소실됨. 세간의 소문: "네로 황제가 본인의 시적 영감을 위해서 불을 냈다." 화재가 안 난 3개 지역이 유대인 밀집 지역.

로마의 기독교 박해 이유 :1.네로 황재의 방화설로 인한 정치적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기독교인들에게 누명을 씌움 2.황제 숭배를 거부함. 3.기독교인들의 로마 군대 징집 거부(마 26:52), 미트라교(Mithraism):광명의 신 '미트라'를 믿는 종교로 로마 군인들이 많이 믿었다. A.D.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가 공인 받기까지 240여 년간 박해를 받은 기독교

"정금과 같이 우리를 빚으시는 고난이 기독교 역사 속에서 늘 존재했다."

예수의 제자들의 죽음으로 , 예수에 대한 문서 기록의 필요성을 느낌. 말씀을 듣던 시대에서 말씀을 보는 시대로의 변화 '얌니아 회의'에서 유대인들이 구약의 전경을 만들어 놓음. 헬라 문화의 중심,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70인역 성경 :알렉산드리아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을 위해 헬라어로 번역된 성경. 카르타고 공회 : A.D. 397년 신약 27권을 제정한 공회

예수의 신성에 대한 해석을 두고: 에비온파와 영지주의 등 다양한 종파가 생겨남. 많은 문헌 중에서 : 27권의 신약 성경을 선별하는 작업 시작. 정경(canon): 기독교에서 공식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경전, 기독교의 정체성 형성 : 1.'정경화'작업, 마르시온(Marcion):예수의 성육신을 부정하는 '영지주의'를 대표하는 초기 기독교의 신학자, '육제와 물질'을 주정하기에 구약을 인정 안한 영지주의, "신이 어떻게 육신을 가지고 있어 성육신은 말이 안돼" "누가복음과 바울서신 일부만 진짜야 나머진 쓸모없어" 영지주의의 '마르시온'의 주장에 위기를 느껴: 급속히 '정경화 작업'을 진행한 교회 지도자들.

성경에 대한 다른 해석이 문제로 부각, 에비온파와 영지주의 주장이 아니고, 기독교의 핵심진리:"영이신 하나님이 사람의 몸을 입고 이 땅에 오신 것이, 곧 예수", 크레도(Credo): "나는 믿는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로 '사도신경'으로도 불리운다. 사도신경 :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믿사오며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사오니 이는 성령으로 잉태하사 동정녀 마리아에게 나시고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다시 살아나시며...성령을 믿사오며 ..., "사도신경의 핵심은 예수가 누구인지를 고백하는 것에 있다" 예수그리스도:1.동정녀 마리아에게 나시고,2.본디오 빌라도가 통치하던 때에,3.역사적 존재로서 실제로 죽고 부활하셨다. 신약성경의 기준 : 영이신 분이 육신을 입고 이 땅에 오신 예수

신약성경의 해석 차이가 또 다른 문제로 부각, "누구의 해석이 가장 권위가 있을 까?" "사도들의 제자 계보를 따라 신약성경을 형성하자" 사도계승권, 사도계승권으로 인하여 : 교회 안에 계급이 생겨나기 시작함. 기독교의 정체성 형성 : 1.'정경화'작업 2.'신약성경'형성 3.'교권제도'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2강 '수도원 운동의 기원'│CBS 아카데미숲

성경에서 볼 수 있는 수도원 운동의 근거 : 이세벨을 피해 광야로 들어간 엘리야, 예수님의 길을 예배했던 사람? 침례요한 막1:4 '요한은 낙타털 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 띠를 띠고 메뚜기와 석청을 먹더라', 공생애 시작 전 광야에서 40일 기도를 드린 예수, 하나님과 만나는 특별한 공간으로 여겨졌던 광야와 사막

다양했던 유대교의 분파, 사두개파 :성전을 중심으로 제사장들에 의해 형성된 유대교 당파, 바리새파 : 회당을 중심으로 율법을 중시했던 유대교 당파, 열심당(Zealot) : 1차 유대전쟁 당시 로마에 항거했던 무력독립운동 조직, 에세네파 : '에세네'란 이름은 '경견한 자들'이란 뜻으로 광야에서 수도원과 비슷한 금욕적인 공동생활을 했던 분파로 '사해 두루마리'를 소유했고 '세례요한'도 관련 있다는 가설이 있다.

광야와 사막에서의 신앙생활이 '수도원' 운동의 시작, 본격적인 수도원 운동의 출발점 A.D. 313년 로마의 기독교 공인:250여 년간 박해를 받다가 A.D.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합법적 종교로 공인함. 헬레나:'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어머니로 '313년' 개종했으며 박해받던 기독교를 공인하는 '밀라노 칙령'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방패,투구,군기 등을 만들어 전쟁에서 승리한 콘스탄티누스, "전쟁에서 이기게 해 준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시다", 로마의 기독교 공인이 오히려 기독교의 위기일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 로마의 박해 시절 교회에 온 사람들 2가지 유형:바보 혹은 진짜 그리스도인!, 250년 년간 로마제국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사라지지 않은 기독교, 기독교 공인 후 신앙의 순수성이 떨어지게 됨. 신앙을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 사막으로 들어간 사람들.

아타나시우스(Athanasius):4세기경에 활동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로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부와 성자의 동일한 본질을 주장하여 위대한 신학자로 존경받고 있다. '성 안토니우스의 생애(Vita Antonii)'를 저술한 아타나시우스, 안토니우스:이집트 사막에서 사탄의 유혹에 맞서며 금욕적인 신앙생활을 했으며 '수도주의'의 창시자로 불리운다. 사막의 수도자 '안토니우스'일화 : 큰 부자였던 안토니우스, 성경을 읽고:예수의 길을 따르기로 결심한 안토니우스, 재산을 가난한 이들에게 모두 나눠준 후 이집트 사막으로 들어간 안토니우스, 하나님과 깊이 만나기 위해 극도의 금욕생활을 했던 안토니우스, 고기와 포도주와 음식을 멀리함, 무려 90여 년간 수행한 안토니우스, 103세에 죽기까지 건강을 유지했던 안토니우스 

시리아 안디옥 지역에서 주상고행자'시메온'등장, 주상고행자:기둥 위 혹은 탑 꼭대기에서 고행을 하는 수도자, 시메온:시리아 안디옥 인근 기둥위에서 고행을 했던 4세기경의 수도자로서 사람들에게 많은 은사를 베풀었고 69세에 죽었다고 알려진다.  고행의 수도 생활을 시도하다 실패하는 자들이 많이 나옴, 혼자하는 수도의 한계가 드러남, 함께 수도하는 공동체의 필요성을 느낌, 파코미우스(Pachomius):공동생활제 수도원의 창시자. 320년경 중부 이집트, 나일강 연안의 타베니시(Tabennisi)로 가서, 자신의 수도원을 열었다. 수도원의 중요한 전통 자급자족, 수도원의 중요한 원칙: 1.육체노동 2.권위 복종, 아빠스(abbas):'수도원장의 호칭으로 아버지'란 뜻을 갖고 있다. 

기독교 공인이 후 신앙의 퇴보에 위기감을 느낀 사람들에 의해 수도원 운동이 시작

수도원의 설립과 부패가 반복됨. 베네딕트(Benedict):529년 카푸아의 몬테 카시노에서 본격적 수도원을 설립함. 후대의 수도원 생활의 기본이 된 「베네딕트회 규칙」을 편술했으며 서양 수도회의 아버지라 불려진다. 다양한 사람들로 인해:수도원에서도 갈등과 분열이 일어남. 파코미우스 이 후로 유럽에 많은 수의 수도원이 설립됨. 수도원 공동체 규칙을 고민한 베네딕트, 베네딕트 규칙서: 베네딕트가 작성한 73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수도원 생활의 규칙으로 지금까지 수도원 규칙의 교본으로 쓰이고 있다. "극단적 고행은 삼가자",음식,노동 등 생활규칙부터 영적훈련방법까지:상세히 기록된 '베네딕트의 규칙서'. 의학적인 용도로 포도주 사용 가능, 노동과 공부 할 수 있는 시간 할당, 포도주 등 수도원에서의 생산은 영적 생활의 일부임, 학문의 전당이 된 수도원, 수도원의 중요 규범3: 1 독신, 2 청빈, 3 순명, 잠이 없는 노인과 잠이 많은 청년이 함께 지낼 수 있도록 숙소를 배정, 초기 교회 성직자들은 결혼을 하기도 했었음, 수도원의 영향으로 초기 교회 성직자들이 독신으로 살게 됨,

성직자들의 결혼으로:재산과 권력의 세습이 이뤄지는 문제가 발생, 성직자들이 독신으로 살게 된 이유:1 권력과 부의 세습 단절을 위해, 2 주님만 섬기기 위해, 베네딕트 이 후 수도원이 유럽 전체로 확장됨, 시간이 흐르고 세력이 커지자:초기의 정신을 잃어버린 수도원, 수도원의 타락 원인3 성,권력,돈 , 수도원의 헌금이 크게 증가함, 헌금으로 많은 토지를 확보하게 된 수도원, 많은 양의 토지를 경작하기 위해 사람을 고용하는 수도원, 노동을 안 하게 되는 수사들, 탐욕과 부패의 온상이 된 수도원 

910년경 윌리엄 공작이 자신의 돈으로 수도원을 세움, 클뤼니 수도원(Cluny Abbey):910년경 프랑스 동부 클뤼니에 세워진 베네딕투스 수도회의 수도원으로 중세의 교회개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클뤼니 수도원의 설립정신:베네딕트 규칙을 회복하자, 수도원 개혁과 함께 부패한 교회를 개혁, 규모가 커지면서 초심을 잃게 된 클뤼니 수도원, 시토 수도원(Cistercian):1098년 베네딕트 규칙 회복을 목적으로 설립된 수도원, 자급자족의 삶을 살았던 시토 수도회, 터득한 농사법을 농민들과 고유한 시토 수도회, 

13세기 새로운 형태의 수도원:'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크회', "수도원의 타락은 재산 때문이다", "우리의 영성을 가로막는 것은 다른 종교나 철학이 아니라 우리를 배부르게 하는 것, 즉 물질의 탐욕이다", 재산을 아예 없애버린 '프란체스코회'와 '도미니크회' , 농사도 짓지말고 구걸해라, 프란체스코:이탈리아 부유한 상인의 가정에 태어났으나 20세에 회심한 후 평생을 이웃을 사랑하며 청빈과 겸손의 삶을 살았다. '프란체스코회'의 창시자. "가난은 나의 여인이다 나는 가난과 결혼했다" 프란체스코 사 후에 일어나 제자들 간의 분쟁: 재산은 필요하다가 승, 도미니크 수도회(Dominican Order):1216년경 탁발과 청빈의 정신으로 세워진 수도회,  카타리파(Cathari):'청정파'라는 뜻으로 물질을 천시하며 극도의 금욕적인 계율을 추구했던 기독교 이단의 일파, 세속화된 수도원과 비교하여:사람들의 지지를 받게 된 이단 '카타리파',  이단 '카타리파'의 인기에 충격을 받은 '도미니크', "이단으로부터 교회를 지키기 위해서는 학문을 기르고, 영적으로 성숙해야 한다", 설교를 통해 대중과 직접 만나 진리를 전한 '도미니크회', 말과 일치된 행동과 삶을 보여줬던 '도미니크회', 도미니크회=설교자들의 수도회, 유명한 설교자와 신학자들을 배출한 '도미니크회' 

종교개혁으로 인해 수도원 운동이 끊어진 개신교, 구원을 향한 수도회의 수행에 한계를 느낀 마르틴 루터, 루터를 시작으로 개신교의 반수도원운동이 시작, 독신의 규율을 없애고 자신도 수녀와 결혼을 한 마르틴 루터, 루터를 시작으로 개신교는 결혼이 허용됨,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3강 '로마 박해 종식 후 교회의 변화'|CBS아카데미숲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4강 '서로마 제국의 멸망 후 다시 태어난 교회'|CBS 아카데미숲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5강 '중세의 문예부흥이 시작되다'|CBS 아카데미숲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여행 6강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의 분열'|CBS 아카데미숲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7강 '십자군 전쟁'|CBS아카데미숲

 

배덕만 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8강 '신대륙의 발견'|CBS 아카데미숲

 

 

배덕만교수의 세계교회사 여행 9강 '종교개혁, 위클리프와 얀후스'|CBSTV 아카데미숲

 

 

세계교회사 여행 10강 '종교개혁 루터와 쯔빙글리'|CBS 아카데미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