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iar History/Korea

임오군란(경과)

Four Seasons Daddy 2010. 3. 26. 13:13

경과

 

  7월 19일(음력 6월 5일), 전라도 조미(全羅道漕米)가 도착되자 선혜청 도봉소(都捧所)에서는 우선 무위영 소속의 옛 훈련도감 군병들에게 1개월분의 급료를 지불하게 되었다. 그러나 선혜청 고직(庫直)의 농간으로 겨와 모래가 섞였을 뿐 아니라 두량(斗量)도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아 군료의 수령을 거부하고 시비를 따지게 되었다. 민겸호의 하인인 군료 지급 담당자가 불손한 언동까지 하자 군병들은 격노하였다.

 

옛 훈련도감 포수(砲手) 김춘영(金春永)·유복만(柳卜萬)·정의길(鄭義吉)·강명준(姜命俊) 등을 선두로 하여 군료의 수령을 거부하고 선혜청 고직과 무위영 영관(營官)에게 돌을 던지고 몰매를 때렸으며, 도봉소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었다(이 당시 군인 월급은 돈이 아니라 쌀로 지급되었다).

 

군병들은 자신들에게 지급되어야 할 쌀들이 모두 민겸호가 중간에서 수탈해 갔다고 생각했다. 쌀을 배급한 도봉소 고직이 민겸호의 하인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리 근거없는 의심이라고 하기도 어렵다.한편, 이 소식을 들은 민겸호가 주동자 체포령을 내렸고, 곧 김춘영·유복만 등 4, 5명의 군인이 포도청에 잡혀갔다. 이어 그들이 혹독한 고문을 당하고 있다는 것과 그들 중 2명이 곧 사형되리라는 소문이 퍼졌다.

 

이 소문을 접한 군병들은 더욱 격분하게 되었다. 이 사건을 도봉소 사건(都捧所事件)이라고 하며, 이 날을 임오군란의 시작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에 김장손(金長孫)·유춘만(柳春萬 : 유복만의 동생)이 주동이 되어 투옥된 군병의 구명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통문을 작성하였다.

 

 

  7월 22일(음력 6월 8일), 이최응이 별파진(別破陣)을 동원하여 폭동을 진압할 것을 국왕에게 건의했다는 소문이 퍼졌다.사건에 가담한 군병들은 더욱 흥분하였으나, 일단

 

  7월 23일(음력 6월 9일), 김장손과 유춘만을 선두로 한 무위영 군병들이 무위대장 이경하(李景夏)의 집에 가서 민겸호의 불법과 억울한 사정을 호소하였다.그러나 이경하는 군료 관할의 권리가 없다는 것을 내세워 편지 한 통을 써주고 민겸호에게 직접 호소하도록 하였다. 이 시점에서 이경하는 폭동을 일으킨 군인들의 직속 상관이었으나, 자신이 처리해야 할 문제를 회피해 버린 셈이다.

 

민겸호의 집 앞에서 군병들은 문제를 일으켰던 도봉소 고직을 발견하여 민겸호의 집안으로 난입하게 되었으나 민겸호와 고직은 찾지 못한 채 가재도구와 가옥을 모두 파괴했고,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다고 판단한 군병들은 본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다.민씨 정권의 보복을 예상한 김장손과 유춘만 등은 운현궁으로 달려갔다.

 

흥선대원군을 만난 그들은 사정을 설명하고 자신들을 이끌어 달라고 요청하였다. 이는 시아버지(흥선대원군)와 며느리(명성황후)의 갈등이 일개 군병까지도 그 사정을 다 알정도로 심했음을 증명하기도 한것이었다. 흥선대원군은 이러한 군민의 소요 사태에 대해 무위영 군졸 장순길(張順吉) 등에게 명하여 표면상으로는 효유선무하는 태도를 취하여 밀린 군료의 지급을 약속하며 해산하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김장손과 유춘만 등을 불러 밀계(密啓)를 지령하고 심복인 허욱(許煜)을 군복으로 변장시켜 군민들을 지휘하게 하였다.

 

대원군과 연결된 군민들은 좀 더 대담하고 조직적인 행동을 개시하여 일부는 동별영(東別營)의 무기고를 부수고 무기를 약탈하여 포도청에 난입한 후 김춘영·유복만 등을 구출하고 이어서 의금부를 습격하여 척사론자(斥邪論者)인 백낙관(白樂寬) 등 죄수들을 석방시켰다.

 

다른 일대는 경기감영을 습격하여 무기를 약탈하고 나머지 일대는 강화유수(江華留守) 민태호를 비롯한 척신과 개화파 관료의 집을 습격 파괴하였다.그날 저녁에는 일본 공사관을 포위 습격하였다. 일본 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일본어:はなぶさ よしもと, 花房義質) 등 일본 공관원 전원은 인천으로 도피하였고, 공사관 건물을 불타버렸다.

 

또 한편의 군민들은 별기군 병영 하도감(下都監)을 습격하여 일본인 교관 호리모토 레이조(堀本禮造) 공병 소위를 살해하고 일본 순사 등 일본인 13명을 살해하는 등 일본 공사관 습격을 마지막으로 하여 이날의 폭동은 끝났다

 

  7월 24일(음력 6월 10일)은 흥선대원군의 밀명에 따라 돈령부 영사 흥인군(興寅君) 이최응과 호군(護軍) 민창식(閔昌植)을 살해하고, 창덕궁 돈화문에 육박한 후 곧 명성황후를 제거하기 위해 궐내로 난입하였다. 난군들은 궐내 도처에 흩어져 명성황후와 척신들을 수색하던 중 선혜청 당상 민겸호와 경기도 관찰사 김보현을 발견하여 살해하고 계속 명성황후의 행방을 찾았다. 이러한 위급한 상황에서 궁녀의 옷으로 변장한 명성황후는 무예별감 홍계훈(洪啓薰)의 도움으로 충주 장호원(長湖院)의 충주목사 민응식(閔應植)의 집으로 피신하였다.

 

한편 군민들의 난동을 조정에서는 민겸호의 보고에 의해 단순한 도봉소의 군료분쟁으로 생각했으나 척신들의 집들이 습격·파괴되고 군민이 대거 폭동에 참가하게 되자 무위대장 이경하를 동별영에 보내어 진무시켰으나 실패하였다. 뒤늦게 조정은 사태의 책임자를 문책하여 선혜청 당상 민겸호, 도봉소 당상 심순택(沈舜澤), 무위대장 이경하, 장어대장 신정희(申正熙) 등을 파직시키고 무위대장 후임으로 대원군의 장자 이재면(李載冕)을 임명하였다(그러나 이미 민겸호는 살해된 뒤였다).

 

일단 이렇게 하여 민심을 수습하는 한편, 상호군 조영하(趙寧夏)의 제안에 따라 별기군 영병관 윤웅렬(尹雄烈, 윤치호의 아버지)을 통해 일본공사 앞으로 서한을 보내어 군변사실을 통고하고 자위책을 강구하도록 요구하였으나 이미 공관원 전원은 인천으로 탈주한 뒤였다.난민들이 궐내로 진입을 하게 되자 국왕은 사태의 수습을 위해 대원군의 입시를 명하였고 이에 따라 대원군은 부대부인(府大夫人) 민씨(閔氏)와 장자 이재면을 대동하고 입궐하였는데 이 때 허욱의 지휘하에 구 훈국병(舊訓局兵) 200명이 대원군을 호위하였다.

 

대원군은 사태수습의 책임을 맡고, 왕명으로 사실상의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곧이어 국왕의 자책교지(自責敎旨)가 반포되어 군변의 정당성이 합리화되었고, 대원군은 이를 계기로 군인들을 무마하여 사태수습에 나섰다.우선 군병의 요청에 따라 무위영·장어영과 별기군을 혁파하고 5영을 복구시키도록 하였으며,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혁파하고 삼군부(三軍府)를 설치하였다. 또한 군병들에 대해 군료의 지급을 공약하고 척족의 제거를 위한 인사조치를 단행하여 이재면으로 하여금 훈련대장, 호조판서, 선혜청 당상을 겸임하게 하여 군사력과 재무 권력을을 장악하게 하고 중앙의 각 부서와 지방의 관찰사 등 수령들에 새로운 인물을 등용하였다.

 

흥선대원군이 기용한 인물은 대개 남인 계열의 노정치가들이며 인재의 보충을 위해 투옥되었거나 정배당한 죄수들을 석방시키는 조치를 단행하였다. 한편 일부 군인들이 명성황후의 처단을 주장하고 해산을 거부하자 대원군은 명성황후의 실종을 사망으로 단정하고 명성황후상(喪)을 공포하였다.

 

청과 일본의 개입 한편 명성황후의 국상을 강제 진행함에 따라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실권은 단축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청나라는 종주국으로서 속방(屬邦)을 보호해야 한다는 핑계로 이 기회에 일본에 빼앗겼던 조선에 대한 우월한 기득권을 회복하려 하였다.

 

마침 임오군란 당일 지방으로 도망갔던 명성황후와 그 일족이 개화파 관료 김윤식, 어윤중을 청나라로 보내 청나라에게 원조를 요청한 것(음력 6월 19일)을 핑계로, 음력 6월 27일에 마건충(馬建忠)이 이끄는 육군 4,500명이 육로로, 8월 20일(음력 7월 7일) 청나라 해군 제독 오장경(吳長慶)이 정여창(丁汝昌), 김윤식을 대동하여 남양만으로 상륙해 조선에 진주하였다.오장경은

 

  8월 25일(음력 7월 12일) 흥선대원군을 병영으로 초청하였다가 군란 선동의 배후자라 하여 톈진(天津)으로 납치한다.대원군 납치 후 다시 민씨 정권이 부활하였고, 청군은

 

  8월 29일(음력 7월 16일) 왕십리와 이태원 일대를 공격하여 170여 명을 체포하고 11명을 사형시키는 등 군란 진압에 나섰다.한편 일본에 도착한 하나부사(花房義質)공사가 군변의 사실을 일본정부에 보고하자 일본은 곧 군함 4척과 보병 1개 대대를 조선에 파견하였으나 청의 신속한 군사행동과 병력 차이로 인해 대항하지는 못했다. 이때 하나부사 일본 공사가 이끄는 일본군 대대 병력이 서울로 진주한 것은 음력 6월 29일이었다. 대원군이 청나라에 의해 제거되었기 때문에 조선측에 대한 강경한 태도로 책임을 물어

 

8월 30일 (음력 7월 17일)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을 체결하게 되었다.

 

'Familiar History >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조약 (1876년 고종13년)  (0) 2010.03.26
임오군란(결과 및 평가)  (0) 2010.03.26
임오군란 (1882년 고종19년)  (0) 2010.03.26
갑신정변(결과와 영향)  (0) 2010.03.25
갑신정변(전개)  (0) 2010.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