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에서는 2개의 음향체(音響體) 간의 대립 ·경합을 특징으로 한 악곡.
어원인 콘체르토는 ‘경합하다’의 뜻을 지닌 라틴어의 동사 콘케르타레(concertare)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화려한 연주기교를 구사하는 독주악기(또는 독주악기군)와 관현악을 위해 작곡된 기악곡을 가리킨다. 이러한 협주곡은 17세기 말엽 이후 후기바로크 ·고전 ·낭만파시대 특유의 것으로 그 이전(16세기)에는 어떤 종류의 성악곡에 대해서도 이 말이 사용되었다.
⑴ 성악콘체르토:16세기 중엽부터 약 100년 동안은 콘체르토라고 하면 기악반주가 따른 성악곡을 뜻했다. 그러나 이 때의 기악반주는 종전과 같이 음의 선율을 그대로 중복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성부(聲部)를 지니고 있었다. 거기에는 사람의 목소리와 악기의 협주라는 요소가 많이 내포되었으며 베네치아악파 이래 합창과 관현악을 2군으로 나누어 서로 교대하게 함으로써 2개 음향체의 경합과 같은 인상을 많이 풍겼다.
이와 같은 성악콘체르토는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A.가브리엘리, G.가브리엘리, 반키에리, 비아다나, 몬테베르디 등이 좋은 작품을 썼고, 독일에서도 샤인, 슈츠 등이 이 양식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성악콘체르토에 대해 협주곡이라는 언어는 쓰지 않은 것이 통례였다.
⑵ 합주협주곡(콘체르토 그로소):바로크시대 특유의 기악협주곡으로 몇 개의 악기로 이루어진 독주군(콘체르티노 또는 솔리)과 대개는 현악 오케스트라의 합주부(리피에노 또는 콘체르토 그로소)로 이루어져 2군의 음량의 대비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형식의 협주곡은 1700년을 전후하여 이탈리아의 코렐리에 의해 확립되었으며 그의 작품에서는 독주부가 2개의 바이올린과 첼로로 이루어졌다.
또 형식과 기능상으로는 느림 ·빠름 ·느림 ·빠름의 4악장을 기조로 한 교회협주곡(콘체르토 다 키에자)과 무곡모음곡형식을 취한 실내협주곡(콘체르토 다 카메라)의 2종류가 있다. 한편 비발디는 독주부의 기교를 더욱 화려하게 하고 리토르넬로형식을 도입하여 새로운 형식의 합주협주곡을 만들어 냈다. 헨델은 작품 3, 작품 6 등에서 코렐리의, J.S.바흐는 《브란덴부르크협주곡》 제2,4번 등에서 비발디의 형식을 계승 발전시켜 함께 합주협주곡의 정점을 이룩하였다.
⑶ 독주협주곡(솔로 콘체르토):오늘날 가장 많이 연주되는 것이 단일 독주악기와 관현악으로 이루어진 독주협주곡이며 독주악기에 따라서 피아노협주곡 ·바이올린협주곡 등으로 불린다. 이 형식의 협주곡도 바로크시대인 1700년경에 이탈리아에서 발생하였으며 토렐리, 알비노니, 비발디 등이 주로 바이올린협주곡을 많이 작곡했다.
그리고 바이올린에 이어서 오보에 ·플루트 등의 협주곡도 인기가 있었다. 특히 470곡 이상의 협주곡을 쓴 비발디는 빠름 ·느림 ·빠름의 3악장형식을 확립하고 빠른 악장에 솔로와 투티(全奏)가 교대로 나타나는 리토르넬로형식을 채용하여 형식의 통일감을 높임과 동시에 독주악기의 기교를 크게 향상시켰다. 그 전통을 이어받아 바로크기 협주곡의 정점을 이룬 것이 바흐이다.
그는 바이올린협주곡 이외에도 하프시코드를 독주악기의 지위에까지 올려놓음으로써 뒤에 피아노협주곡이 나오게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합주협주곡이 바로크시대와 더불어 그 생명을 다한 데 반하여 3악장형식의 독주협주곡은 고전파 ·낭만파로 계승되어 협주곡이라고 하면 전적으로 이것을 가리킬 정도로까지 되었다. 그러나 바로크시대의 리토르넬로형식을 대신하여 빠른 악장에는 소나타형식이 쓰이게 되었다.
하이든(첼로 ·피아노), 모차르트(피아노·바이올린 플루트)를 거쳐 베토벤의 바이올린협주곡과 피아노협주곡에 이르러서는 협주곡이 화려한 음악적 기교를 발휘하는 데 다시없는 곡으로 등장했으며 교향곡과 필적할 만큼 깊은 정신성(精神性)의 표현에 도달하게 되었다.
빠른 악장의 종결부 직전에 삽입된 화려한 카덴차는 원래 연주자의 즉흥(卽興)에 맡겨졌으나, 베토벤의 《황제》(1809) 이후는 작곡가가 사전에 작곡하도록 되었다. 낭만파시대에도 협주곡은 가장 중요한 음악형식의 하나로 즐겨 쓰였으며 멘델스존, 쇼팽, 리스트, 그리그, 차이콥스키, 드보르자크, 브람스 등도 화려한 기교를 살린 작품들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독주협주곡은 현대의 버르토크, 프로코피예프 등에게 계승됨과 동시에 현대음악에서는 버르토크의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43)이나 스트라빈스키의 《현악합주를 위한 협주곡》(1946)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협주곡의 개념이 확대되어 가는 경향에 있다.
1.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 작품 8의 1~4 (사계절의 아름다운 시정)
2.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바로크 협주곡의 집대성)
3. 하이든 트럼펫 협주곡 Eb장조(트럼펫 예술의 극치)
4.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20번 D단조 K. 466(슬픔마저 달관한 우수 어린 정서)
5.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 622 모차르트(음악으로 승화된 죽음의 노래)
6. 호른 협주곡 제3번 Eb장조 K. 447 모차르트(웅대하면서도 은은한 친화적인 음색)
7. 피아노 협주곡 제5번 Eb장조 [황제] 작품 73 베토벤(수준 있게 승화된 한편의 인생의 찬가)
8.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61 베토벤(깨끗한 선율로 정제된 사랑의 빛깔)
9.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D장조 작품 6 파가니니(서정적인 감미로움에 화려한 비르투오조)
10.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작품 64(여성미로 다가오는 세련된 균형)
11. 멘델스존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독자적인 피아니즘과 관현악의 조화)
12. 쇼팽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단조 작품 11(고국을 떠나는 자신만의 이별 의식)
13. 쇼팽 피아노 협주곡 제2번 F단조 작품 21(선율로 고백된 애틋한 순정)
14.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제1번 Eb장조(최고도로 발휘된 피아노의 기능)
15. 비외탕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A단조 작품 37(단일악장으로 된 새로운 예술미)
16. 랄로 [스페인 교향곡] 작품 21(다채로운 물결로 다가오는 매혹적인 정서)
17.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제2번 Bb장조 작품 83(중후함속에 흐르는 명랑함)
18.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77(요아힘과의 친밀한 우정 속에서)
19. 브루흐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G단조 작품 26(명상적인 요소와 우수적 낭만)
20.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1번 Bb단조 작품 23(슬라브 채취의 강렬한 야성미)
21.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 B단조 작품 104(민족 감성의 음의 무늬로 그린 노스탤지어)
22.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16(순수한 리리시즘과 북구의 색조 깊은 정취)
23. 엘가 첼로 협주곡 E단조 작품 85(노 예술가의 고매한 예술 정신)
24.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작품 47(음울한 빛이 환상으로 다가오는 대자연의 시정)
25.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2번 C단조 작품 18(친근미를 주는 정서 깊은 서정)
26. 라벨 피아노 협주곡 G장조(정교한 구성의 프랑스적 에스프리)
27. 로드리고 [아랑훼즈 협주곡](섬세한 음감의 시정 넘치는 남국의 향수)
'Familiar Classic Music > Story on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메타나, 나의조국 (0) | 2010.11.21 |
---|---|
실내악 [室內樂, chamber music] (0) | 2010.11.21 |
교향곡 [交響曲, symphony] (0) | 2010.10.16 |
슈만의 시인의사랑 (0) | 2010.10.16 |
음악으로 사계절의 변화를 그려낸 비발디의 탁월한 묘사력 (0) | 201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