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iar Classic Music 532

BWV1052~1065 쳄발로 협주곡들 Harpsichord Concertos

BWV1052~1065 쳄발로 협주곡들 Harpsichord Concertos l 헬무트 발햐(Helmut Walcha/ 1907.10.27~1991.8.11)1세 때 받은 예방접종의 후유증으로 시력을 잃어 16세에 실명했다. 1926년부터 29년까지 스승 라민의 조수로 성 토마스 교회의 오르간 주자를 지냈고, 29년부터는 프랑크푸르트 프리덴 교회의 오르간 주자, 38년부터 72년까지 프랑크푸르트의 음악대학 교수를 지내는 한편 46년 드라이쾨니히 교회의 오르간 주자를 역임했다. 동 교회와 대학에서 바흐의 오르간 작품 연속 연주와 강의로 바흐 연주가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바흐의 전 오르간곡과 쳄발로곡을 암보하여 연주, 준엄하고 정통적인 해석에 정평이 나 있다

BWV1046~1051 브란덴부르크 협주곡들 Brandenburg Concertos

BWV1046~1051 브란덴부르크 협주곡들 Brandenburg Concertos l 바흐가 쾨텐 궁의 궁정악사로 있던 시절에 작곡된 명작으로 6곡의 합주 협주곡으로 된 작품이다l 각각 다른 독주 악기에 현악기들을 동원하여 오케스트라인지,실내악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로 다양한 편성을 하고 있다l이 곡을 헌정받은 브란덴부르크 공은 한 번도 이곡을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잊혀져 있던 이곡은 바흐가 죽은 후에 발견되어 새롭게 빛을 보게됨

BWV1043 두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D단조

BWV1043 두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D단조 Concerto for Two Violins in D Minor l 두 대의 바이올린이 얽혀서 진행하는 대위법적 선율은 바흐가 추구했던 음악적 이상향을 명쾌하게 보여준다. 특히 2악장 라르고의 아름다운 선율은 근대 협주곡이 풍기는 서정성의 극치로 전현 낯설지 안기 때문이다lItzhak Perlman and Isaac Stern의 연주가 환상적임 1악장 2악장 3악장

BWV1080 푸가의 기법 The Art of Fugue

BWV1080 푸가의 기법 The Art of Fugue l 푸가는 특별히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가 지정된 것은 아니지만 "푸가의 기법"이 반드시 오르간으로 연주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첫 번째, 바흐는 당대 최고 수준의 오르간 연주자였다는 점. 두 번째, 그의 필생의 업적인 대위법 연구의 정수를 구조적으로 완전히 구현해낼 수 있는 최적의 악기가 오르간이라는 점. 세 번째, 바흐하면 오르간 음향부터 떠오르는게 일반적이라는 점.l오르간으로 연주된 "푸가의 기법" 음반들 중에서 가장 먼저 생각해볼 수 있는 사람은 발햐의 연주이다.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들에 있어서 헬무트발햐라는 오르가니스트가 반드시 한 번은 도달해야 할높은 봉우리라는 이유도 크다. 시각 장애인임에도 불구하고 바흐의 모든 건반악기 작품들을 ..

BWV1013 무반주 플룻 파르티타

BWV1013 무반주 플룻 파르티타 l플룻같은 바람으로 소리내는 악기의 청초한 분위기는 허공에 울려 퍼져 묘한 운치와 여운을 남기기 때문에, 이는 현악기보다 더 불리한 음악적 상황을 타계하는 플룻의 순기능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이런 관악기를 사용한 무반주 형태의 음악은 어떤 형태의 그것보다도 더욱더 내적 지향(음악적 상상력)을 일깨운다고 생각한다

BWV1007~1012 무반주 첼로 모음곡 Suites for Solo Cello

BWV1007~1012 무반주 첼로 모음곡 Suites for Solo Cello l 첼로의 성서 [무반주 첼로 조곡], 첼로라는 풍요한 저음부를 지닌 대형 현악기의 낭랑한 음색을 활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견실한 음의 건축물을 완성했다l 파블로 카잘스와 무반주 첼로 모음곡, 1876년 스페인의 카탈로니아에서 태어난 카잘스는 11세무렵 첼로의 인간미 넘치는 선율에 매료된 이래 한평생을 첼로와 같이 한 음악가이다. 1889년 바르셀로나의 한 악기점에서 카잘스에 의해서 무반주 첼로 모음곡의 악보가 발견되었다l 제1곡/ 프렐류드(Prelude)곡의 특징은 대부분 도입적 성격을 지니며, 자유스럽고 즉흥적인 분위기를 띤다. 제2곡/ 알레망드(Allemande)독일에서 유래한 춤곡. 신중한 느낌. 멜로딕하다. 알레그로..

BWV1001~1006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BWV1001~1006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Sonatas and Partitas for Solo Violin http://www.youtube.com/watch?v=jdKWZqy1g0E&feature=PlayList&p=02C850242EA39DC2&index=1 http://www.youtube.com/watch?v=0GCulHFMPQ0&feature=PlayList&p=02C850242EA39DC2&index=2 http://www.youtube.com/watch?v=BeDkY9vky3I&feature=related http://www.youtube.com/watch?v=057Xiaigeqs&feature=related l 바흐의 무반주 음악의 특성인 화성의 신비와 대위법의 가능성이 근..

BWV846~869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Das Wohltemperierte Clavier

BWV846~869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Das Wohltemperierte Clavier 음악의 아버지 바흐가 남긴 최대의 음악유산l 인류의 음악이 모두 다 소멸한 해도 이 곡만 있으면 다시 살려낼 수 있다l 건반 음악의 구약성서 l24곡의 prelude(전주곡)로 구성되어 있어 저마다 다채로운 기법을 보여줌과 동시에 예술적으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줌

바하의 작품감상

주요작품 BWV565 토카타와 푸가 d단조 Toccata and Fugue in d minor http://www.youtube.com/watch?v=ipzR9bhei_o http://www.youtube.com/watch?v=_pY08e_tdtA BWV846~869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 Das Wohltemperierte Clavier http://www.youtube.com/watch?v=0KQW2YnCUrE BWV988 골드베르크 변주곡 Goldberg-Variationen http://www.youtube.com/watch?v=BGYrk0b3Qzk BWV1001~1006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Sonatas and Partitas for Solo Violin http://www.yout..

레퀴엠 (Requiem)

레퀴엠 (Requiem) 레퀴엠이란 죽은 자를 위한 카톨릭 미사곡으로 우리말로 진혼가로 번역될 수 있겠다. 서양역사상 다양한 레퀴엠이 작곡되었지만 모차르트의 레퀴엠은 그가 작곡한 가장 훌륭한 종교음악일뿐만 아니라 가장 잘 알려져있고 중요해서 레퀴엠하면 모차르트의 그것이 떠오를 만큼 후세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모차르트를 그린 영화 "아마데우스"를 통해 대중들에게 더욱 친숙해진 모차르트의 레퀴엠은 극중에서는 모차르트를 시기한 살리에르의 음모로 위촉된다고 되어있지만 그것은 사실과는 다르다. 작곡된 동기는 모차르트 생애의 마지막 해인 1791년 여름 빈의 폰 발제그-스투파흐 (von Walstegg-Stuppach, 1763-1827) 백작의 의뢰를 받은 데 있다. 이 귀족은 열렬한 음악애호가이며 ..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 목록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 목록 : Piano Sonata No. 1 in C major, K. 279 (K. 189d) Piano Sonata No. 2 in F major, K. 280 (K. 189e) Piano Sonata No. 3 in B flat major, K. 281 (K.189f) Piano Sonata No. 4 in E flat major, K. 282 (K. 189g) Piano Sonata No. 5 in G major, K. 283 (K. 189h) Piano Sonata No. 6 in D major, K. 284 (K. 205b) Piano Sonata No. 7 in C major, K. 309 (K. 284b) Piano Sonata No. 8 in A minor, ..

모차르트의 기악곡 주요 작품 목록

모차르트의 기악곡 주요 작품 목록 K. 13. 바이얼린-피아노 F장조, 안단테 K. 16. 내림E장조 교향곡, 안단테 G 장조 K. 39. 클라비어 협주곡, 안단테 K. 100. 세레나데, 제2미뉴엣, 3중주곡 K. 109. 베스페르스 BMV(신비스런 로자) K. 132. 교향곡, 미뉴엣, 3중주곡 K. 155. 4중주곡, 종결부, 제2간주곡 K. 156. 4중주곡, 아다지오 K. 157. 4중주곡, 안단테 K. 158. 4중주곡, 안단테 K. 175. D장조, 피아노 협주곡 종결부 K. 183. G단조 교향곡, 안단테 K. 184. 내림E장조 교향곡, 안단테 K. 201. A장조 교향곡 K. 216. 바이얼린 협주곡, 파반느 K. 246. 관악 7중주곡, 미뉴에트, 3중주 K. 253. 6갱의 관악기를..

쾨헬 번호

쾨헬 번호(독일어: Köchel-verzeichnis 약자 K. 또는 KV)는 1862년 루트비히 폰 쾨헬(Ludwig von Köchel)에 의해 처음 작성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모든 음악 작품 목록이다. 예를 들어, 모차르트의 《레퀴엠 d 단조》는 쾨헬의 번호에 따르면 모차르트가 작곡한 626번째 작품이었다. 따라서 그 작품은 "K. 626"이라고 표기된다. 쾨헬의 목록은 연대기일 뿐만 아니라, 모차르트의 작품을 간단히 지칭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모차르트의 사망 이후 수십 년 동안 그의 작품을 목록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최초의 성공은 1862년 루트비히 폰 쾨헬에 의한 것이었다. 쾨헬의 551쪽짜리 책은 Chronologisch-thematisches Verzeichnis sämtli..

모짜르트대하여 ..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재능을 보여 4세 때 건반 지도를 받고 5세 때 소곡(小曲)을 작곡하였다. 아버지는 그의 뛰어난 재능을 각지의 궁정에 알리기 위하여 아들이 6세 되던 해부터 여행을 계획하여 1762년 7월 바이에른 선거후의 궁정이 있는 뮌헨에 가서 연주하고, 이어 빈으로 가서 여황제 마리아 테레지아 앞에서 연주하는 등 많은 일화가 있다. 작곡가로서 그의 활동에 커다란 자극과 영향을 준 것은 서유럽을 거의 일주하다시피 한 여행(1763∼1766)이었다. 여행에서는 파리에서 알게 된 J.쇼베르트(1720?∼1767), 런던에서 알게 된 J.C.바흐(J.S.바흐의 막내아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 파리에서는 바이올린 소나타를, 런던에서는 최초의 교향곡(제1번 Eb장조) 등을 작곡..

마탄의 사수 Der Freischütz

작품설명 마탄의사수(魔彈-射手, 독일어: Der Freischütz)는 프레드리히 킨트의 대본에 기초한 카를 마리아 폰 베버의 3막짜리 오페라다. 이 작품은 첫번째로 중요한 독일 낭만 오페라로 여겨진다. 작곡가 베버 (1786~1826) 국민오페라의 창시자. 1820년 독일의 민속 설화에 바탕을 둔 환상적인 오페라를 작곡하여 음악상의 낭만주의 특색을 최초로 나타내었다. 줄거리 대대로 내려온 관습에 의해 정기적으로 열리는 사격 경기에서 우승을 하는 자만이호림관의 딸 아가테와 결혼하고 동시에 호림관 자리를 물려받을 수 있다. 젊고 용감한 사냥꾼 막스는 호림관의 딸 아가테와 사랑하는 사이인데, 어쩐 일이지 별안간 손이 무디어져 목표물을 맞출 수 없게 된다. 사격 경기를 내일로 앞둔 막스는 고민하게 된다. 엉큼..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 작품설명 일 트로바토레(Il trovatore)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4막의 오페라이다. 에스파냐 극작가, 안토니오 가르시아 구치에레츠의 희곡 음유 시인 (El trovador)을 기초로 살바도레 캄마라노와 레오네 에마누엘레 바르다레 가 이탈리아어 대본은 완성하였다. 1853년 1월 19일 로마의 아폴로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Opera America"에 따르면 북미에서 7번째로 많이 공연되는 오페라이다. 1857년 베르디는 이 오페라를 파리 공연을 위해 Il trouvere로 수정하고, 발레 장면을 첨가하였다 줄거리 1409년 스페인을 배경으로 집시 여인의 복수가 형제의 삶을 갈라놓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집시 여인 ‘아주체나’는 루나백작의 아버지에게 화형당한 어..

아이다 Aida

아이다 Aida 작품설명 아이다(Aida)은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4막의 오페라이다. 프랑스 이집트 고고학자인 오귀스트 마리에트의 쓴 시나리오를 기초로, 카미유 뒤 로클이 프랑스로 대본을 작성하였고, 이것을 근거로 안토니오 기슬란초니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작성하였다. 1871년 12월 24일 카이로의 Khedivial Opera House에서 초연되었다. 유럽에서의 초연은 1872년 2월 8일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막이 올려졌다.아이다는 1869년 11월 수에즈 운하의 개통을 기념하기 위해 베르디에게 의뢰해서 탄생된 작품이다. 줄거리 제 1 막 - 멤피스 왕궁과 바르칸 신전 이집트의 옛 수도 멤피스에서는 그들을 위협하는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항할 새로운 군대를 소집하고 라다메스는 장군으로 선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