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iar Everything 107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개신교의 분파 중 하나인 장로회의 가장 중요한 신앙고백 중 하나. 영국 청교도 혁명과 영국 내전 당시, 의회파 주류였던 국교회[1] 장로파 젠트리들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신학자들을 소집하여 장로회의 신앙의 기본 틀을 정립하기 위해 만든 문서로, 현재까지도 전 세계 장로 교회 신앙의 핵심 문서로 인정받는다.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 사도신경 등 신경과는 성격을 달리하여[2], 총 33장짜리 아주 긴 문서가 되었다. 종교개혁 시기 영국국교회[3]의 장로파들은 국교회가 더 확실히 가톨릭을 배척하지 않는 것이 불만이었다.[4] 특히 당시 국교회에서 만든 39개 신조에서 가톨릭의 영향이 완전히 배제되지 않은 것이 그들 눈에는 불충분해 보였다. 그래서 1643년 장기의회의 요청에 의해 잉글랜드 종교개혁을 담당할 ..

도르트 교회회의

도르트 교회회의 [ -敎會會議 , Synod of Dort ] 1618-1619년 네덜란드 도르트(또는 도르트레히트)에서 개최된 종교회의. 여기서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표준 교리 중 하나인 '도르트 신조'가 작성되었다. 즉, 1610년 네덜란드 신학교수 알미니우스(Jacob Arminius, 1516-1609년)의 제자들은 무조건적 예정론(불가항력적 은총)에 반대하는 항변서(Remonstrance)를 발표하였다. 이에 대해 철저한 칼빈주의자였던 고마루스(Gomarus)는 반항변서(Counter Remonstrance)를 발표하면서 양측간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이 즈음에 네덜란드는 내란까지 발생하였고 전세는 정통파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이런 와중에 1618년 11월 13일 도르트 교회회의가 소집되었..

칼빈주의 5대 교리

칼빈주의 5대 교리 [ -主義 五大 敎理 ,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 TULIP] 알미니안주의와의 논쟁을 거치면서 확정된 칼빈주의 신학의 기본적인 다섯 가지 신조를 말한다. 흔히, 각 항목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꽃 이름인 '튜립'(TULIP)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정리하면, ① 인간의 전적 부패(Total Depravity) ② 무조건적 선택(Unconditional Election) ③ 제한 속죄(Limited Atonement) ④ 불가항력적 은혜(Irresistible Grace) ⑤ 성도의 견인(Perseverance of Saints) 등이다. ・ 칼빈주의 5대 교리의 배경 ・ 인간의 전적 부패(人間-全的 腐敗, Total Depravity) ・ 무조건적 선택(無條..

사도신경

1. 개요 사도신경(使徒信經), 사도신조(使徒信條) 또는 종도신경(從徒信經)은 서방교회의 주요 기독교 교파가 사용하는 신앙 고백문이다. 교회 공동체에서 기본적으로 믿어야 할 교의를 요약 정리하고, 초기 교부들과 공의회 등이 재확인하고 천명한 주요 교리 해석에 대해 동의하며 이에 대한 믿음을 약속하는 내용으로, 주로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대신하여 암송된다.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대신에 사도신경을 사용하는 것은 동방교회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서방교회의 고유한 전승이다. 본래 로마 지역의 교회에서 세례를 받을 때 사용하던 신앙고백문에 기초하여 발전했다고 추정한다. 하느님의 전능함, 창세의 사실,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죽음의 과정과 부활, 승천, 심판에 대한 예언, 성령과 교회 공동체에 ..

종교개혁 2

4.2. 신성로마제국의 혼란 결국 1520년에 루터는 가톨릭 교회로부터 파문당했다. 다음해 신성로마제국 제국의회는 루터를 불러 신앙 검증을 요구한다. 그곳에서도 루터는 자신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고, 결국 의회는 루터를 제국 밖으로 쫓아내도록 결의한다. 이는 당시의 황제였던 카를 5세가 가톨릭을 수호하는 입장에 있었던 것과 관련이 깊다. 비록 카를 5세의 시대에는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권위가 교황의 권위를 초월한 지 오래였지만, 가톨릭의 수호자라는 명목상의 정통성은 당시의 시점에서도 유지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루터는 암살자를 염려한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에게 중도에 납치당하고,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이는 프리드리히 3세가 루터의 신학은 별로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루터..

종교개혁 1

1. 개요 Sola Scriptura, Sola Fide, Sola Gratia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The) Reformation(영) / Reformation(독) / Reformatio(라) / 宗敎改革 일반적으로,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당시 가톨릭의 부패와 심각한 타락상뿐 아니라 교황 및 사제들의 심각한 복음훼손을 비판하는 내용의 95개조 반박문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시작된 기독교 내부의 대규모 개혁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 이는 단순히 기독교의 역사뿐만 아니라 유럽 전체의 역사, 그리고 세계사에 거대한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약 천 년간의 중세를 끝내고 근대 유럽을 형성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종교 개혁의 결과, 가톨릭에서 분리하여, 참된 복음을 회복하고자 종교개혁을..

사도신경

1. 개요 사도신경(使徒信經), 사도신조(使徒信條) 또는 종도신경(從徒信經)은 서방교회의 주요 기독교 교파가 사용하는 신앙 고백문이다. 교회 공동체에서 기본적으로 믿어야 할 교의를 요약 정리하고, 초기 교부들과 공의회 등이 재확인하고 천명한 주요 교리 해석에 대해 동의하며 이에 대한 믿음을 약속하는 내용으로, 주로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대신하여 암송된다.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대신에 사도신경을 사용하는 것은 동방교회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서방교회의 고유한 전승이다. 본래 로마 지역의 교회에서 세례를 받을 때 사용하던 신앙고백문에 기초하여 발전했다고 추정한다. 하느님의 전능함, 창세의 사실,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죽음의 과정과 부활, 승천, 심판에 대한 예언, 성령과 교회 공동체에 ..

첫 일곱 보편 공의회

가톨릭과 정교회가 모두 인정하는 일곱 차례의 보편 공의회. 콘스탄티누스 1세가 처음 보편 공의회를 소집한 이후로, 로마 제국(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소집하였다. 일곱 공의회는 기독교의 교파나기독교 계열의 종교마다 인정 여부가 각기 다르다. 아시리아 동방교회: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인정한다. 오리엔트 정교회: 에페소 공의회까지를 인정한다. 루터회, 감리회, 성공회: 대체적으로 일곱 개의 공의회를 모두 인정하나, 엄밀히 말하면 그 공의회에서 채택된 교리들을 인정한다. 기타 개신교 계열: 대개 칼케돈 공의회까지를 인정한다. 몰몬교, 여호와의 증인, 유니테리언 등의 비삼위일체파: 인정하지 않는다. 몰몬교에서는 공의회의 교리가 신약의 교리와 크게 차이가 나며, 그리스 철학에 물든..

스펄전 설교전집 26 : 사도행전

스펄전 설교전집 : 사도행전 찰스 스펄전 알렉산더 맥클라렌이 ‘강해설교의 왕자(Prince of Expository Preachers)’라고 불리는 반면에, 찰스 스펄전은 ‘설교계의 왕자(Prince of Preachers)’라고 불리어왔다. 설교학자 앤드류 블랙우드는 스펄전을 사도 바울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설교자로 묘사하며, 교회사가 알렉 비들러는 스펄전은 “위대한 설교자들 중 가장 위대한 설교자”라고 말한다. 찰스 스펄전은 지금도 미국 기독교 출판계에서 가장 많이 출판되는 저자이다. D. L. 무디는, 자기의 불길은 성경과 스펄전으로부터 발생한 것이라고 솔직하게 고백하였다. 그의 책은 200여권이 넘으나 하나하나 주옥같으며, 그가 죽은 지 백 년이 넘었지만 그의 설교는 오늘날에도 많은 설교자들과 ..

칼빈주의 강의

인간의 전적 부패(人間-全的 腐敗, Total Depravity) 무조건적 선택(無條件的 選擇, Unconditional Election) 제한 속죄(制限 贖罪, Limited Atonement) 불가항력적 은혜(不可抗力的 恩惠, Irresistible Grace) 성도의 견인(聖徒-堅忍, Perseverance of Saints)[네이버 지식백과] 칼빈주의 5대 교리  칼빈주의의 정의와 역사적 탄생, 피영민 목사 (요나 2장 9절)  무조건적 선택 - 피영민 목사 (에베소서 1장 3~6절) 칼빈주의 강의 3 : 제한 속죄 - 피영민 목사, 마태복음 1장 21절 저항할 수 없는 은혜 - 피영민 목사, 사도행전 16장 11~15절 칼빈주의 5대 교리 : 성도의 견인 - 피영민 목사, 사도행전 27장 20~..

기독교의 교파

기독교의 교파 기독교(그리스도교)의 교파 분류는 크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전통으로 나뉜다. 동방교회는 현재 동방 정교회로 불리며 각 국가별 동방정교회가 있다. 서방교회는 16세기 분리되어 천주교의 각 교파[49]와 개신교의 각 교파로 교파가 존재한다. 가톨릭교회(로마 가톨릭교회): 보편교회란 뜻으로 로마 총대주교인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교회. 한국에서는 "천주교"라고도 한다. 정교회와 구분하기 위해서 로마 가톨릭교회라고 흔히 부른다. 정교회 역시도 보편된(Catholic) 교회이기 때문이다. 정교회: 정통교회라는 뜻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수장으로 이루어진 교회. 가톨릭교회와 구분하기 위해서 동방 정교회라고 흔히 부른다. 가톨릭교회 역시도 정통된(Orthodox) 교회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정교회..

기독교 교리와 신학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분파를 거듭함에 따라 전세계에 2만 개 이상의 교파가 있으며, 한국에서도 대표적 교단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함께 장로교, 감리교 등의 여러 교파가 분포되어 있다. 교파마다 교리도 다양하지만 기독교의 공통된 가장 큰 특징은 메시아 및 속죄 사상이다. 다른 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관(神觀): 기독교는 그 유일신의 이름을 야훼로 구별해 왔다. ('주님' 또는 '여호와'로도 불린다.) 이름을 직접 부르는 대신,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대한성공회, 한국 정교회에서는 '하느님', 개신교만이 '하나님'을 사용하고 있다. 신론(神論)에 있어서 다른 아브라함계 종교와 다른 점으로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삼위일체를 믿는 교파가 많다는 점이다. 이는 성경에는 거의 언급이 없지만 거룩한 전승을 ..

기독교 역사

역사 고대 기독교 초기 기독교는 예수가 팔레스타인지역에서 활동하였다는 때와 그의 십자가 처형 이후[주해 1] 사도들이 교회를 이끌던 1세기 무렵부터 동서교회의 분열 이전까지의 기독교를 말한다. 초기 기독교는 베드로, 파울로스와 같은 사도와 선지자들이 회중을 순회하고 다녔지만 특정한 조직이나, 교리, 건물 등이 없었고 따라서 일치된 신학도 없었으며 매우 다양한 견해를 갖는 집단들로 나뉘어 있었다.[4]는 주장이 있는 반면,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지역마다 많은 회중이 형성되었고, 사도들이 신자들에게 성경의 가르침과 예수의 새로운 가르침을 따를 것을 교훈하였으며 배교자 혹은 부도덕한 신자에 대해서는 경고하거나 제명해야 됨을 각 회중들에 권고하고 편지한 내용 그리고 교리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교회 연로자들..

기독교

기독교는 나사렛 예수의 삶과 가르침에 바탕을 둔 종교이다. 유일신을 섬기는 아브라함 종교이며, 그리스도교 또는 크리스트교라고도 한다. 기독교 신자들은 예수가 구약성경에서 예언한 메시아로서 인류를 구원하려 이 세상에 온 그리스도라고 믿는다. 예수의 행적은 신약성경에 기록되어 있으며,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은 함께 기독교의 경전을 이룬다. 기독교는 약 24억 명의 신자가 있는 세계 최대의 종교이다.[1] 기독교에는 많은 종파가 있고 크게 서방 기독교와 동방 기독교로 나뉜다. 종파마다 구원론, 교회론, 사제론, 그리스도론 등에 대한 입장이 다르다. 대체로 기독교 종파들은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로 태어나 가르침을 펼치다가 수난을 받고 십자가형을 받아 죽었으나, 이로써 인류를 구원하고 죽음으로부터 부활했다고 믿는다. ..

기독교 강요

기독교 강요 존 칼빈 기독교 강요 (상) 목차 제1권 창조주 하나님을 아는 지식 제1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 그 연결의 본질 제2장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무엇이며, 또한 그를 아는 지식은 어떤 목적을 이루는가 제3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사람의 마음속에 본성적으로 심겨졌음 제4장 무지에 의해서나 악의에 의해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짓눌리거나 더렵혀짐 제5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우주의 창조와 그 지속적인 운행에서 분명히 드러남 제6장 창조주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데에는 성경이라는 안내자와 교사가 필요함 제7장 성령의 증거가 성경의 권위의 확립에 필수적임. 성경의 신빙성이 교회의 판단에 달려 있다는 논리는 사악한 거짓임 제8장 성령의 신빙성은 인간의 이성 범주..

성 어거스틴의 고백록

고백록 성 어거스틴 성어거스틴이 '고백록'을 저술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이 책의 독자들에게 참되고 사랑이 많으신 하나님을 찾아 나서자고 추구하기 위해서 였다. 이런 의미에서 어거스틴의 '고백록'은 단순히 '죄를 고백'하는 '참회록'이 아니다. 어거 스틴이 '고백록'에서 말하는 '고백'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죄와 무능을 겸손히 고백하는 것뿐아니라, 나와 같은 죄인을 용서하고 사랑해 주시는 진리와 사랑의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 찬양하는 마음을 고백하는 '찬양의 고백'도 포함된다. 어거스틴은 이 같은 고백을 다른 형제자매들과 함께 마음을 같이 하여 하나님께 올리기 원했다. 그것은 하나님이야말로 우리 모두에게 삶의 진정한 기쁨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분이시며, 우리 모두가 한마음으로 자기를 찬양하는 것을 ..

기독교의 역사 - 알리스터 맥그라스

기독교의 역사 알리스터 맥그라스 1. 초기 교회, 100- 500년 1.1. 배경 살펴보기: 기독교의 기원 1.1.1. 도가니: 이스라엘 역사 | 1.1.2. 더 넓은 배경: 이방 세계의 지혜 추구 | 1.1.3. 전환점: 나사렛 예수 | 1.1.4. 기독교 초기의 교세 확산 | 1.1.5. 사도 시대 | 1.1.6. 사도 시대 기독교 속의 여자들 | 1.1.7. 기독교와 유대교: 복잡한 관계 1.2. 초기 기독교와 로마제국 1.2.1. 로마제국, 100년 무렵 | 1.2.2. 기독교와 황제 숭배 | 1.2.3. 기독교와 유대교: 시노페의 마르키온 | 1.2.4. 기독교와 이교 문화: 순교자 유스티누스 | 1.2.5. 초기 기독교의 예배와 삶 1.3. 초기 기독교와 헬레니즘 세계 1.3.1. 그리스어로 ..